본문 바로가기
투자 & 재테크 금융 가이드

[시리즈⑤] 문화·K-콘텐츠 전략: 세계 5대 문화강국을 향한 K-팝·드라마·뷰티·푸드·웹툰 전략

by 거북이 부자 2025. 8. 25.
반응형

[시리즈⑤] 문화·K-콘텐츠 전략: 세계 5대 문화강국을 향한 K-팝·드라마·뷰티·푸드·웹툰 전략
세계 5대 문화강국을 향한 K-팝·드라마·뷰티·푸드·웹툰 전략

 

[시리즈⑤] 문화·K-콘텐츠 전략: 세계 5대 문화강국을 향한 K-팝·드라마·뷰티·푸드·웹툰 전략

한류(K-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경제성장전략—정부 과제 및 글로벌 확장 투자 포인트 총정리

  • 이재명 정부는 2030년까지 ‘세계 5대 문화강국’ 비전 추진(음악, 드라마, 웹툰, 뷰티, 푸드).
  • 2024년 문화 콘텐츠 수출 IP 규모는 약 98억 5000만 달러로 제조 상품 수출 대비 작은 비중이나 빠르게 성장 중.
  • HYBE, CJ ENM, Krafton 등 콘텐츠 제작사들이 중동·중남미·인도 시장으로 적극 진출하는 추세.
  • 문화재정 확대, 전문 펀드를 통한 콘텐츠 제작 및 플랫폼 결제 인프라 강화 예고.

1) 정부 전략 요약

정부는 2030년까지 K-팝, 드라마, 웹툰, 뷰티, 푸드 등 문화 전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 5대 문화강국’ 진입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문화재정 확대, 정책금융·세제 지원, IP 보호·저작권 강화 정책도 병행하여 추진 중입니다.

2) 콘텐츠 수출 현황 및 과제

콘텐츠 분야 수출(IP 수출)은 2024년 기준 약 98억 5000만 달러, 전체 상품 수출의 작은 비중이긴 하나 빠른 성장세를 나타냅니다.

주요 사례로는 BTS, 기생충, 오징어 게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등의 성공 사례가 있으며 글로벌 영향력 확대 중입니다.

3) 글로벌 확장 전략

  • HYBE는 라틴아메리카 오디션 개최, 중동·인도 시장 확대 전략 추진 중.
  • CJ ENM은 드라마를 중동·북아프리카에 공급, Amazon Prime 등 글로벌 플랫폼과 협업 중.
  • 게임 분야에서는 Krafton이 인도 시장 투자를 확대하며 기회 모색 중입니다.

4) 투자 포인트

  • 음악 콘텐츠: HYBE, SM, YG 등 K-팝 엔터테인먼트사 투자 유망
  • 드라마·IP: CJ ENM, Studio Dragon 등 OTT 플랫폼 공급사 관심
  • 웹툰·디지털 콘텐츠: 네이버웹툰, 카카오페이지 등 스케일업 기반 기업
  • K-뷰티·푸드 연관: 중소 OEM/ODM 중심 뷰티 브랜드, 수출 관련 인프라 기업 유망
  • 글로벌 전개 전략 (신흥시장, 플랫폼 협업 등) 주시 필요
  • 리스크: 제작비 상승, 미디어 소비 트렌드 변화, AI 콘텐츠 리스크도 고려해야 합니다

시리즈 요약 안내: 이어질 “⑥ 자본시장·규제 개혁” 편도 기대해주세요! 알림 받으려면 구독 클릭하세요.

추가 발표가 나오면 본문 즉시 업데이트 드립니다.

참고자료

  • 로이터: “South Korea turns to culture in search of next fillip for growth”
  • 법제처: “K-컬처 300조원·방한관광 3000만 시대” 전략
  • 헤럴드경제: “K-콘텐츠 국가전략산업 본격 시동”

Tags: 한류, K-콘텐츠, K팝, K드라마, K뷰티, K푸드, 웹툰, 글로벌콘텐츠, 문화산업투자, 세계문화강국

반응형